본문 바로가기

주식재료손질

대형기술주 상승세 미 국채금리 하락 FOMC 전 관망세

반응형

 

지난밤 미 증시는 시장금리가 안정된 가운데, 그간 약세를 보였던 기술주가 반등을 보이면서 3대 지수 모두 상승세로 마감했습니다. S&P500은 전일 대비 0.65%, DOW 0.53% 올랐습니다. 기술주 비중이 높은 NASDAQ은 1.05% 올랐습니다. 이날 상승으로 S&P500과 DOW는 사상 최고치를 다시금 경신했습니다. 



대형 기술주들은 대부분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이 약보합세를 나타냈지만, 애플과 페이스북, 그리고 테슬라는 2%대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엔비디아가 2.6%, 브로드컴이 4.3% 오르는 등 주요 반도체 업종도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이날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2.26% 올랐습니다.



경제활동 재개 수혜주들은 백신 보급 가속화에 힘입어 연이은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아메리칸 에어라인이 7.7% 상승한 가운데 크루즈 업체인 카니발이 4.8% 올랐습니다. 백화점 업체인 메이시스와 노드스트롬은 이틀째 10%대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그간 강세를 보였던 은행주와 석유 관련 기업들은 당일 소폭 약세를 보였습니다.

 

 

18일 3월 FOMC 결과 발표를 둘러싼 대기심리와 경계심리 상존으로 10년물 금리가 1.6%선에 머물러있으나, 현재 시장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금리레벨에 적응하고 있다는 점도 위험자산 선호심리를 유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모습입니다.

 

 

발표된 경제지표도 긍정적이었습니다. 미국의 3월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는 17.4로 전월(12.1) 및 예상치(15.0)를 상회했으며, 세부항목에서 가격 수용(23.4→24.2)과 가격 지불(57.8→64.4) 지수가 상승함에 따라 기업들의 가격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한편, 중국의 1~2월 산업생산(35.1%YoY, 예상 30.0%, 전월 7.3%), 소매판매(33.8%, 예상 32.0%, 전월 4.6%)은 예상보다 큰 폭 개선되었다는 소식입니다. 고정자산투자(35.0%, 예상 40.0%, 전월 2.0%)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나, 15일 발표된 중국 지표는 대체로 양호했던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유틸리티 섹터가 1.36% 오르면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그 다음으로 경기소비재와 부동산, 그리고 IT 섹터가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반면 유가와 금리의 하락 영향으로 에너지 섹터와 금융 섹터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국제유가(WTI)는 양호한 경제지표와 부양책 효과에 대한 기대가 달러인덱스 상승을 야기하면서 상대적으로 유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며 하락 마감 하였습니다.

 

 

전일 우리 증시는 양호한 중국 실물 경제지표에도 불구하고 하락 마감 하였습니다. 미국의 국채금리 상승세가 이어지는데다 중국 경제 정상화 기조 속 유동성 흡수 우려가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러한 가운데 미 증시가 경제 정상화 및 신규 유동성 공급 기대 속 강세를 보인 점, 미 국채 금리가 FOMC를 앞두고 소폭 하락한 점은 투자심리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미 연준이 이번 FOMC를 통해 새로운 정책을 시사할 가능성이 크지 않아 시장의 기대와 다른 양상이 보일 수 있는 변수가 있기 때문에 이번주까지는 보수적인 시각을 유지하면서 기대수익률을 낮추는 전략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대응하겠습니다.

 

 

 

 

 

* 주요 지수
다우존스: 32953.46 (0.53%)
S&P500: 3968.94 (0.65%)
나스닥: 13459.71 (1.05%)
유로Stoxx: 3829.84 (-0.09%)
FTSE100: 6749.7 (-0.17%)
CAC40: 6035.97 (-0.17%)
DAX30: 14461.42 (-0.28%)
닛케이225: 29766.97 (0.17%)
상해종합: 3419.946 (-0.96%)
항셍: 28833.76 (0.33%)
VIX: 20.03 (-3.19%)

달러인덱스: 91.82 (0.15%)

원달러: 1135.9 (0.46%)

WTI: 65.39 (-0.34%)

미국10y: 1.606 (-1.917bp)

MSCI South Korea : 89.28 (1.42%)

 

 

 

 

 

 

미국주식 특징종목

- AMC(+25.81%)는 월요일에 LA에서 2개의 극장을 재개장한 가운데, 금요일까지 뉴욕주 및 LA에서 당사가 보유한 모든 극장을 재개장할 계획을 발표하여 향후 실적 개선 기대감으로 강세

- NXP반도체(+8.96%), 펜 내셔널 게이밍(4.60%), 제네락(+2.68%) 등은 21년 3월 22일에 S&P 500 지수 편입이 발표되면서 해당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자금 유입 기대감이 부각됨에 따라 동반 강세

- 유나이티드항공(+8.26%), 아메리칸항공(+7.70%), 델타항공(+2.33%) 등 항공업종 종목들은 백신 접종으로 인해 공항 이용객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미 교통 안전국(TSA)의 발표가 호재로 작용하면서 동반 강세

- 일라이릴리(-9.09%)는 당사가 개발한 알츠하이머 치료제의 임상 연구 결과가 18개월 동안 환자의 치매 진행을 완만하게 늦추었다고 발표하였음에도, 기대에 못 미치는 실험 결과로 인해 약세

 

 

 

 

 

 

기간별 거래소 신고가 종목
-60일 : 미래에셋생명
-52주 : 한국조선해양, KT, 메리츠증권, 현대미포조선, BNK금융지주, 메리츠금융지주, DGB금융지주, JB금융지주, LG상사, 현대그린푸드
-역사적 : F&F, 효성티앤씨, 효성첨단소재, 미원상사, 미원에스씨

 

기간별 거래소 신저가 종목
-60일 : 없음
-52주 : 없음
-역사적 : 없음

기간별 코스닥 신고가 종목
-60일 : 국일제지, 마크로젠
-52주 : 세종텔레콤, 네오위즈홀딩스, SBI인베스트먼트, 진성티이씨
-역사적 : 키네마스터, 아주IB투자, 미래에셋벤처투자, 파세코

기간별 코스닥 신저가 종목
-60일 : 없음
-52주 : 없음
-역사적 : 없음

 

 

[속보] 김여정 "'남북군사합의서 파기' 특단 대책도 예견하고 있어"

[속보] 김여정 "'남북군사합의서 파기' 특단 대책도 예견하고 있어" | 연합뉴스 (yna.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