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사상 첫 70만원선 돌파
틱톡 북미사업은 MS가 인수할 가능성이 높음
위챗은 미국에서 중국학생들 빼고는 사용안하는 상태여서 큰 이슈가 아님
통계 지표상 미국 성인들은 여전히 대다수가 문자서비스를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9 US messenger MAU>
페이스북 1.07억명
스냅챗 0.46억명
왓츠앱 0.26억명
위챗 0.015억명
SKC 컨콜 주요 내용 정리
[실적 요약]
-영업이익 527억원(+92% QoQ)으로 컨센서스(470억원) 약 12% 상회
-Mobility 소재(동박)는 매출액 763억원(+7% QoQ), 영업이익 131억원(+96% QOQ)을 기록
-파업 영향 소멸에 따른 판매량 증가와 함께 수익성 회복되며 이익 증가
-반도체 소재도 전방 업황 회복으로 매출액 증가(+21% QoQ)하며 이익 성장
-기존 사업(화학/Industry소재)도 전분기 부진에서 회복하며 견조한 실적 달성
-하반기 동박 판매량 확대에 따른 매출 성장 기대되며, 현재 수준의 수익성도 유지 가능 판단
-중국 증설에 따른 수급 우려 존재하나 고객사 원가 절감 니즈 감안하면 경쟁력 우위 지속될 것
[QnA]
<SK넥실리스(동박)>
Q) 하반기 출하량 전망?
A) 상반기 대비 2자릿수의 증가 예상. 유럽 중심의 성장 기대 vs. 다만 코로나19에 따른 OEM 가동 현황에 대한 불확실성은 존재
Q) 매출액 대비 이익 개선이 더 큰 이유?
A) 가동률이 중요한데 1분기 파업 영향에 부진했으나 2분기에는 정상화되었기 때문
Q) 정읍 지역 동박 수출 가격 하락 원인?
A) 중국 업체들의 공격적 마케팅에 따른 시장 가격 하락, 고객사와의 T-Value의 조정 등 영향
향후 고부가 제품 Mix 확대를 통해 판가 및 수익성을 유지하는 전략은 불변
Q) 중국 업체들의 증설에 따른 동박 수급 변화?
A) 기본적으로 수급 밸런스에 대해서는 EV의 성장 속도와 동박 Capa 증가에 지속적인 영향 받을 것으로 예상. 다만 고객사의 원가 절감 니즈 감안하면 당사의 제품 경쟁력은 지속될 것
Q) 하반기 동박 사업 수익성 전망?
A) 7~8월 수주 상황을 보면 하반기 가동률의 추가적인 상승이 기대되어 현재 수준의 수익성은 유지 가능할 것으로 예상
<반도체 소재>
Q) 블랭크 마스크 향후 개발/출시 일정 및 실적 가이던스?
A) 현재 제품 개발에 매진하면서 고객사 인증 진행 중. 올해 인증 완료되면 21년 양산 가능 판단 vs. 사업 안정화 이후 25~30% 수익 창출
Q) 반도체 소재 중장기 가이던스 재점검?
A) Ceramic 제품 Mix 개선, CMP/블랭크마스크/Wet Chemical 등 고부가 매출 창출로 매출액 1조원 가이던스는 유효 판단
vs. 다만 업황 악화로 달성 시점은 중국 반도체 굴기의 Ramp-up 시점에 의존적(약 1년 지연 가능성 존재)
Q) 반도체 소재 하반기 수익성 전망?
A) 가동률 상승에 따른 고정비 부담 완화 효과 지속되며 하반기 수익 기여 예상. 증설 물량 가동되는 21년 추가 수익성 개선 기대
<화학/Industry 소재>
Q) 필름 고부가 제품 Mix 비중?
A) 스페셜티 비중 약 35% 수준. 신규 제품 런칭하면서 비율 확대 예상 vs. 향후 35~40% 유지 혹은 확대목표
Q) 화학 사업부 내 PO/PG 비중?
A) PG 10만톤으로 시작하여 2~3년 내 17만톤으로 확대
Q) 화학 사업부의 보건 관련 분야?
A) 기존 화장품 뿐 아니라 세정제, 의약품 등에서 꾸준히 수요 성장. 특히 올해는 세정제, 구강 청결제 수요 양호
<기타>
Q) 2분기 세전이익 대비 순이익 감소가 큰 이유?
A) 전분기 PI 매각 차익 반영 vs. 2분기 세전이익 142억원, 순이익 79억원으로 정상적인 수준
[테슬라 관련 이슈 요약]
- 테슬라가 보급형 전기차 모델3 주문 대상을 모든 소비자로 확대소식
-> 모든 소비자로 확대한 것은 모델3 생산 라인 가동이 가속도를 내기 시작했다는 의미
- 중국 전기차 생산업체 바이톤이 파산 위기에 직면했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군산형 일자리 정책에 타격우려
- 테슬라 일론 머스크는 테슬라의 생산거점을 아시아 국가에 마련할 예정이라 이미 밝힌 상황
- 전라북도 관계자들이 최근 (주)명신 부사장과 테슬라 유치를 논의하기 위한 자리를 가짐
->밥 한 번 먹으면서 물 밑 작업중?
셀트리온 코로나치료제 개발현황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개발현황
'주식재료손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마트 급등 이유는 (0) | 2020.08.10 |
---|---|
테슬라 베터리데이 관심주는? (0) | 2020.08.10 |
포스트 코로나 유망기술 30개 내용 (0) | 2020.08.07 |
현대중공업 두산인프라코어 인수 사실부인 터키 불안 (0) | 2020.08.07 |
솔브레인 대웅 효성오앤비 상한가 (0) | 2020.08.06 |